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평가4

9관찰 확인 지표 100점을 위한 4가지 꿀팁 공개!(21년 요양원 평가 매뉴얼) 21년도 평가 때 코로나 감염 예방을 위해 어르신 접촉을 최소화했죠.그래서 '관찰 확인 지표'는 평가를 하지 않았어요. 하지만 25년도에는 큰 이변이 없는 한 관찰 확인 지표들을 평가할 거예요.그리고 엄청 꼼꼼하게 보겠죠.왜냐고요? 21년도 이 지표들을 확인하지 못했기 때문이죠. 우선 관찰 확인 지표들을 확인해 보겠습니다.평가지표 18. 감염관리활동① 외부로 통하는 주 출입구에 손소독제가 비치되어 있으며, 직원은 위생적으로 급여를 제공한다. ▪ 직원이 서비스 제공 전‧후 손 씻기를 수행하는지 관찰한다. - 식사(간식) 보조, 기저귀 교환, 욕창간호, 창상간호, 소변비우기 - 화장실을 이용한 후, 코를 풀거나 기침‧재채기 후, 의료폐기물을 다룬 후, 쓰레기를 다룬 후, 외출에서 복귀.. 2023. 5. 1.
요양원 평가 매뉴얼(평가 방법 별 지표 모음) - 1. 현장 지표 모음 평가 매뉴얼을 보시면현장 지표, 면담 지표, 관찰 및 확인 지표, 비치 또는 게시 항목 등다양한 방법으로 지표를 확인하는데요. 지표번호 순서대로 확인하셔도 되지만 그러다 놓치는 항목이 있을 수 있겠죠?그래서 준비하였습니다. 이번 포스팅을 시작으로 평가 확인 방법별 지표 모음 시작하겠습니다.▶ 현장 지표란?현장 지표는 아래 매뉴얼 사진 처럼 오른쪽에 '현장' 표시되어 있습니다. 평가 당일 평가자(국민건강보험공단 직원)가 요양원 현장을 직접 확인합니다.(그러나 21년 평가 당시 코로나 때문에 생활실은 현장 확인을 하지 않았습니다.) ▶ 21년도 평가 매뉴얼 현장 확인 지표 모음현장 지표이다보니 장소를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이 서류를 가지고 평가 준비 초반에 확인하시고 미비한 부분을 찾으세요.현장지표는 금.. 2023. 4. 26.
장기요양기관 평가 E(미흡)를 받았다. 18년도 장기요양기관 평가 결과입니다. 5개 대분류 영역 총점은 70.2점입니다. 총점만 봤을 때는 C 등급을 받을 수 있지만, 급여제공과정에서 32점을 받았습니다. 즉, 40점 미만으로 과락입니다. 이것이 저의 첫 번째 장기요양기관평가 결과입니다. 당시에는 초보 사회복지사로 평가 매뉴얼조차 낯설었을 때죠. 해야 할 일은 엄청 많았습니다. 그러다 보니 늦게까지 야근을 했습니다. 평가 당일 전까지 수정하고 정리하고 점검했습니다. 그러나 평가는 복지팀 업무만 확인하는 것은 아니지요. 그 결과 대분류 영역 점수의 편차가 들쑥날쑥! 지금 보니 급여제공과정이 32점인데, 급여제공결과가 95점이라니 이것도 신기하네요. 평가 결과가 나오고 한동안은 정말 쪽팔렸어요. 가슴에 뭔가가 꽉 막힌 듯, 체한 듯한 느낌. 요양.. 2023. 4. 23.
밤새지 않고 평가 준비하는 방법 당연한 이야기에 꿀팁을 넣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밤새지 않고 평가 준비하는 방법은 아래 네가지 입니다. 1. 시스템 구축하기요양원에서 작성하는 서류량이 엄청나죠.급여제공기록지, 야간점검일지, 상담기록지, 간호기록지, 외출, 외박 대장, 진료기록부, 투약관리일지 등평가 지표는 50개 데 서류는 100개쯤 되는 거 같죠?!이 모든 서류에 담당자가 있어야 합니다.그리고 급여제공기록지의 경우,요양보호사, 간호, 복지 모두가 기록하는 서류이기에 시스템을 만들어야 해요.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수기 기록 하는 기관의 경우,1. 5월 1일 어르신별 급여제공기록지를 요양보호사에게 전달. 신체활동지원, 인지관리 및 의사소통 부분 작성2. 5월 첫째 주가 끝나면 사회복지사에게 급여제공기록지 1주일 치가 넘어와서 기능회복.. 2023. 4.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