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요양원등급3 요양원 평가 매뉴얼(평가 방법 별 지표 모음) - 1. 현장 지표 모음 평가 매뉴얼을 보시면현장 지표, 면담 지표, 관찰 및 확인 지표, 비치 또는 게시 항목 등다양한 방법으로 지표를 확인하는데요. 지표번호 순서대로 확인하셔도 되지만 그러다 놓치는 항목이 있을 수 있겠죠?그래서 준비하였습니다. 이번 포스팅을 시작으로 평가 확인 방법별 지표 모음 시작하겠습니다.▶ 현장 지표란?현장 지표는 아래 매뉴얼 사진 처럼 오른쪽에 '현장' 표시되어 있습니다. 평가 당일 평가자(국민건강보험공단 직원)가 요양원 현장을 직접 확인합니다.(그러나 21년 평가 당시 코로나 때문에 생활실은 현장 확인을 하지 않았습니다.) ▶ 21년도 평가 매뉴얼 현장 확인 지표 모음현장 지표이다보니 장소를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이 서류를 가지고 평가 준비 초반에 확인하시고 미비한 부분을 찾으세요.현장지표는 금.. 2023. 4. 26. 평가 매뉴얼에 따른 업무 분담(지표별 담당자 정하기) 평가 지표는 총 50가지입니다.이 50가지 지표에 담당자를 정하는 것은 평가 준비에 시작입니다.지표 담당자를 정하는 것만으로도 평가 준비가 훨씬 수월해집니다. 저는 18년도 평가에 E(미흡)을 받았던 가장 큰 이유가 업무 분장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전체를 보기 위함이라면서 세부적인 업무 분장을 하였지만, 업무 분장표 자체에 시간을 빼앗겼던 것이죠. 업무 분장표의 목적은담당자를 지정함과 동시에 해당 지표에 대한 책임감을 가질 수 있게 합니다.그리고 모든 요양원 종사자들이 한 마음으로 평가라는 목표에 힘을 쏟으며 나아갈 수 있게 됩니다.하지만, 업무 분장에 너무 많은 시간을 할애하시면 안 됩니다.제 경험담을 이야기해보겠습니다.18년도 평가 준비 당시 원장님께서는 이 작업을 굉장히 중요하게 생각하셨습니다.그래.. 2023. 4. 25. 장기요양기관 평가 E(미흡)를 받았다. 18년도 장기요양기관 평가 결과입니다. 5개 대분류 영역 총점은 70.2점입니다. 총점만 봤을 때는 C 등급을 받을 수 있지만, 급여제공과정에서 32점을 받았습니다. 즉, 40점 미만으로 과락입니다. 이것이 저의 첫 번째 장기요양기관평가 결과입니다. 당시에는 초보 사회복지사로 평가 매뉴얼조차 낯설었을 때죠. 해야 할 일은 엄청 많았습니다. 그러다 보니 늦게까지 야근을 했습니다. 평가 당일 전까지 수정하고 정리하고 점검했습니다. 그러나 평가는 복지팀 업무만 확인하는 것은 아니지요. 그 결과 대분류 영역 점수의 편차가 들쑥날쑥! 지금 보니 급여제공과정이 32점인데, 급여제공결과가 95점이라니 이것도 신기하네요. 평가 결과가 나오고 한동안은 정말 쪽팔렸어요. 가슴에 뭔가가 꽉 막힌 듯, 체한 듯한 느낌. 요양.. 2023. 4. 23. 이전 1 다음 반응형